모 회사 실무면접 때 Swagger를 이용해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한다는 말을 듣고 Swagger가 뭔지 공부해보았다.
REST API 방식으로 개발된 프로젝트를 테스트해볼 경우, 프론트 개발자가 API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는 것 같다.
API 명세서를 만들 경우 유용할뿐만 아니라 기존 REST API 테스트를 할 때 사용되는 PostMan의 기능까지 추가되어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.
그동안은 주로 엑셀파일로 API 명세서를 만드는데, 파라미터가 변경되거나 주소가 변경되었지만 실제 문서와 소스의 싱크가 맞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. Swagger는 변경된 소스를 그대로 문서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이런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.
Spring MVC로 간단하게 Swagger 실습을 진행해봤는데 직접 해보니 더 신세계... 너무 좋다
실습 참고 : https://cofived.tistory.com/27
'유용한 툴 및 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트스트랩 테마, 템플릿 사이트 (0) | 2019.01.25 |
---|---|
Color Scripter (0) | 2018.03.18 |
포트포워딩 시도하다가 참고한 좋은 사이트 (0) | 2018.03.18 |